자세히 알아보기
□ 정책 제안: 개요
ㅇ 제안자 (블루퀘스트 닉네임)
− HS0820
ㅇ 정책명
− 반려동물 입양 자격 인증제 도입
ㅇ 정책 요점
− 반려동물 입양 전 사전교육 이수 및 자격 인증을 의무화하여 책임 있는 반려문화 정착과 유기·학대 예방, 입양자·소비자 보호를 실현하는 제도 도입
□ 정책 제안: 세부 내용
ㅇ 필요성
− 반려동물 입양 전 법적·제도적 사전교육 부재로 인해 유기, 학대, 충동 입양, 파양 등의 사회문제가 지속됨.
− 입양 희망자 대부분이 동물의 생애주기, 건강, 행동, 법적 책임 등에 대한 정보와 준비 부족.
− 시장의 무분별한 분양, 불법 거래, 정보 비대칭 문제로 보호자와 동물 모두가 피해받는 구조.
ㅇ 제안내용
1. 반려동물 입양 사전교육 및 자격 인증제 도입
− 온라인·오프라인 혼합형 교육과정 이수 후 평가(필기+실기 또는 면담) 통과 시 ‘반려자격 인증서’ 발급
− 인증서 없이는 브리더·보호소 등에서 입양 불가(법적 의무화)
− 미이수 입양 시 과태료 부과 및 재교육 의무
− 기존 반려가구도 일정 유예기간 내 의무적 교육 이수
− 청소년·노약자 등은 맞춤형 교육 및 보호자 동반 필수
2. 입양 절차 및 정보공개 투명화
− 표준안내서 제공 및 비용·책임사항 안내
− 반려동물 등록제와 연계, 주기적 갱신 관리 도입 검토
3. 표준 교육·인증 시스템 구축
− 국가·지자체 주관 공인 교육과정 및 평가 체계 개발
− 민간 전문가(수의사·보호단체 등) 참여 콘텐츠 제작
− 인증 이력은 동물등록제와 연동, 위반 시 제재
4. 통합 플랫폼 및 피해구제 체계 구축
− 입양·등록·교육·피해구제 등 온라인 통합정보 플랫폼 운영
− 입양 후 문제 발생 시 전문가 상담, 분쟁조정, 피해 지원
ㅇ 예상 소요예산
*별도의 예산 증액 없이 농림축산식품부 유기동물관리수준개선지원 예산에서 사용
− 관련 내용: 농림축산식품부 유기동물관리수준개선지원 예산
2022년 예산: 1,589, 실집행액: 1,589
2023년 예산: 1,650, 실집행액 1,155
2024년 예산: 1,650
(단위:백만원)
□ 참고
ㅇ 해외 유사 사례
− (독일) 반려견을 기르는 사람을 대상으로 치르는 반려지식증명 (Sachkundenachweis, 자흐쿤드나흐바이스) 시험 존재
ㅇ 기대효과
− 입양 전 단계에서 책임성을 제도화함으로써 유기·학대 예방
− 입양자·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 및 권익 보호 실현
− 반려동물 산업의 질적 성장 유도 및 국제 동물복지 기준 부합
− 동물은 생명이자 가족이라는 사회 인식 전환 계기 마련
ㅇ 관련 논문 및 자료
− 농림축산검역본부 「2023년 유실·유기동물 통계 분석 보고서」
− 한국동물보호교육재단 「반려동물 교육 의무화 방안 연구」
− 동물자유연대 「반려동물 입양 실태와 제도적 보완 과제」 (2022)
ㅇ 관련 기사
− https://www.discovery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609296
한국반려동물관리협회, ‘동반 반려견 적합성 평가인증제’ 실시 예정
차니 –
너무 필요한 정책입니다
짱이돼야지 –
매일매일 반려동물학대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요즘, 꼭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RYELAN –
반려동물 키우는 가구로서 늘 생각하던 시급한 정책입니다. 농담으로 ‘강아지도 사람이에요’, ‘고양이도 사람이에요’ 라고 말하곤 합니다. 임보 방식으로라도 키워보았다면 그 말의 뜻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식용견 농장 모두 철거도 어서 이루어지길 바라며, 가족으로 맞는 이들을 위한 이런 정책 또한 반드시 필요합니다! 훌륭합니다!
Roman –
취지가 정말로 좋습니다. 특히 반려동물을 기르기 위해서 그 동물에 대해서 배우는 교육이 특히 말이죠.
다만 적용될 규정이나 법안들이 정반대로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어하는 이들에게 걸림돌이 되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한 예로 사육시설등록이 필요한 특정 반려동물들은 기르려면 필요한 서류를 등록하는데에 10만원이나 지불해야 하는데 정작 그 동물의 습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사육시설을 규정하는 것 같은 현장을 반영하지 못하는 규정은 개정되어야 겠지요.
내복오크 –
시골 사람들에게는 좀 복잡한 정책일 수 있으나, 우선 도심권부터 잘 적용이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정책
청년 생활 안전망 구축
진짜 성장 시대 공약 모음집
장애인 권리 보장 복지강국 공약 모음집
빌라 전세보증보험 가입 지원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