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종합지원코디네이터 공인 민간자격 신설

(2개의 정책 리뷰)

카테고리:

자세히 알아보기

2025년 5월 8일 블루퀘스트 닉네임 ‘홍승아’님께서 올려주신 정책 제안입니다!

 


 

▶ 제안자 성명 및 소개

홍승아 / 국회의원 의원실 비서관

 

▶ 제안 정책/법안 제목

‘청년종합지원코디네이터’ 공인 민간자격 신설

 

▶ 제안 정책/법안 요점 및 핵심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청년 정책과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많은 청년들이 정책 접근성과 실행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청년 개인의 삶의 조건과 복합적인 문제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주거·취업·정신건강·교육·참여 등 여러 영역을 아우르는 ‘맞춤형 정책 안내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청년종합지원코디네이터’라는 전문 자격을 신설하고, 이를 공인 민간자격으로 체계화함.
  • 이 자격은 청년들과의 1:1 소통을 기반으로 한 종합적 컨설팅을 수행하고, 정책의 실질적 접근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핵심 인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임.

 

▶ 제안 정책/법안의 필요성 및 세부 내용

청년정책 강화 흐름은 문재인 정부의 청년정책 5대 분야(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 참여)로 구체화되었고, 2020년에는 청년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음.

그러나 현장에는 여전히 “어떤 정책이 있는지 모르겠다”,”정책이 너무 많아 오히려 복잡하다”,”내 상황에 맞는 정책이 없다”는 청년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음. 특히 복합적인 문제를 겪고 있는 청년의 경우, 단일한 정책 정보 제공이나 온라인 안내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개인의 조건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통합 컨설팅이 절실한 상황임.

  • 다양한 정책이 있음에도 접근 자체가 어려움 -> 정책 전달자 부재
  • 온라인 홈페이지 정보 제공 중심 -> 상담, 진단, 연계 없는 구조
  • 지역 편차 심화 -> 청년센터, 공공시설 접근이 지역마다 다름
  • 상담 및 연계 인력 부족 -> 전문성과 지속성 결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종합지원코디네이터 민간 자격증을 신설하여 다음 직무를 수행할 것을 제안함.

  • 청년 정책 수요 조사, 지역 내 수요 파악 및 정책 제안
  • 청년 대상 1:1 통합상담(주거, 취업, 정신건강, 교육 등)
  •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민관 협력 체계 구축
  • 청년 의견 수렴 및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축

 

▶ 예상 소요예산

연구 용역비 1억원

 

▶ 제안 정책/법안의 차별성 및 기대효과

기존 정책과의 차별성

  • 기존 청년정책이 ‘정책 개발’에 집중되어 있다면, 본 제안은 ‘정책 전달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 제안
  • 청년정책은 수요자 중심으로 가야 하나, 여전히 공급자 중심 구조임. 이를 전문 코디네이터가 매개함으로써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
  • 단일 문제 대응이 아닌, 복합적 문제 해결 역량 중심의 종합 지원 인력 양성

기대효과

  • 청년 일자리 창출: 자격 취득자를 지방자치단체 및 청년 관련 현장에 배치함으로써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 현장 밀착형 대응” 청년 센터, 공공기관 등에서 코디네이터가 직접 맞춤형 컨설팅을 통한 경력설계
  • 정책 접근성 개선: 청년이 정책을 몰라서 혜택을 못 받는 ‘정책 사각지대’ 해소

정책 수혜자가 아닌 ‘정책 동반자’로서 청년이 청년을 돕는 구조를 통해, 일자리와 정책 체감도를 동시에 높이고자 함.

 

▶ 관련 논문 및 자료 URL

청년재단 중앙청년지원센터, ‘청년지원매니저 자격화를 위한 컨설팅’ 최종 보고서(2023)

https://kyf.or.kr/user/board.do?bbsId=BBSMSTR_000000000360

청년종합지원코디네이터 공인 민간자격 신설 정책에 대한 2개 리뷰

  1. 내복오크

    내복오크

    전문임기제 공무원으로 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2. 용사여 자라

    용사여 자라

    길을 찾고 싶지만 어려워하는 청년들에게 도움되는 정책일 것 같습니다.

정책 리뷰 추가하기